글번호
920538

[2~3학년 대상] 2025학년도 하계방학 『직무역량 업스킬링 프로그램』(선착순 모집)

작성일
2025.06.23
수정일
2025.07.01
작성자
조은혜
조회수
2013


2025학년도 하계방학 『직무역량 업스킬링 프로그램』


1. 프로그램 개요

가. 명칭: 2025학년도 하계방학 ‘직무역량 업스킬링 프로그램’

나. 내용: 현직자 강사와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핵심 직무 스킬을 쌓는 체험형 직무교육 프로그램

다. 대상: 2~3학년 재학생

라. 모집 인원: 120명(30명 * 4개 프로그램)

마. 일시: 2025. 8. 4.(월) ~ 8. 28.(목)

바. 교육 시간: 각 프로그램당 12시간(3시간*4회) 

사. 교육 방법: ‘Zoom’을 활용한 실시간 비대면 온라인 강의

※ 현직자 참여로 평일 야간에 교육 진행


2. 운영 방법

가. 신청기간: 2025. 6. 30.(월) 09:00부터

나. 신청방법: 성장마루(https://grow.jnu.ac.kr/ko/program/intro/view/566)

다. 선발기준: 선착순 모집(프로그램 중복 지원 불가/ 단, 각 프로그램 모집 인원 30명 미만 시 중복 지원자 선발)

라. 진행방식: 카메라(웹캠) 및 마이크 사용 필수

마. 지원내역: 수료증 및 자기계발활동기록부 점수 부여


3. 프로그램 내용


운영 기간

프로그램명

주요 내용

8. 4.(월)

~8. 13.(수)

생산 시뮬레이션 실전 프로젝트

생산 Flow부터 JIT까지, 제조 현장을 설계하다

제조업 생산관리 분야에서 요구하는 현업 실무 이해도및 직무 역량 강화.

생산 Flow Chart 작성, 4M 분석, 공정 설계, JIT 방식 적용 등 실무 능력을 학습.

결과물: 생산 Flow 설계도& 4M 분석 보고서

8. 5.(화)

~8. 14.(목)

선착순 

마감 완료

품질분석 프로젝트 실습반

품질관리도, SPC, 공정 능력 분석까지 전 과정 경험

통계적 공정 제어(SPC), 품질 관리도 작성, 공정 능력 분석 등은 품질 엔지니어, 데이터 분석가, 공정 엔지니어로서 요구되는 핵심 스킬.

실무 사례와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품질 관리 역량을 어필할 수 있음.

결과물: 공정 능력 분석 리포트

8. 18.(월)

~ 8. 27.(수)

안전관리

산업안전관리 트렌드(중대재해감축 로드맵)•공정안전관리(PSM) 법령 및 개요

위험성 평가, 공정별 유해·위험 요소 분석, 안전교육 계획 수립, 사고 사례 분석 등 실무 능력을 학습

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예시를 통해 작성 노하우 습득 및 실습

8. 19.(화)

~8. 28.(목)

지속가능한 공장을 설계하라!

탄소배출부터 친환경 공정 전략까지, ESG 제조 실전 훈련

친환경 공정 전환과 에너지 최적화가 필수 과제로 공공기관 및 화학, 건설 등의 기업 지원 시에 활용도가 높은 직무역량

탄소배출 요소 분석, LCA(제품 전과정 평가), 공정 내 에너지 흐름 진단 및 절감 전략 등 실무 능력을 학습

결과물: 공정 에너지 진단 보고서 & 친환경 전환 전략 제안서


4. 프로그램 세부 내용

가. 생산관리 프로그램 커리큘럼

일정

차시

강의 주제

주요 내용

8월 4일(월)

19~22시

1차시 (3h)

생산관리 개요 및 자원관리

-생산관리의 목적과 역할

-Lean 생산 및 JIT 개념생산계획/일정관리 기초

-자원 최적화 전략 및 재고관리 기법

8월 6일(수)

19~22시

2차시 (3h)

데이터 기반 공정 분석

-공정 데이터 수집 방법론

-공정능력지수(Cp, Cpk) 해석

-병목현상과 낭비 요소 진단

-개선 타깃 도출 전략

8월 11일(월)

19~22시

3차시 (3h)

생산관리 프로젝트 설계

-개선 프로젝트 기획 흐름

-KPI 설정 및 성과 측정 방법

-비용-효과 분석 기법

-개선 우선순위 도출 프레임워크

8월 13일(수)

19~22시

4차시 (3h)

종합 실습: 공정 개선 프로젝트 수행

▶ 최종 실습 과제

1) 생산 Flow 설계도 작성 

    공정 흐름도 구성

 병목 및 낭비 구간 시각화

2) 4M 분석 보고서 작성 

    Man / Machine / Material / Method 항목별 문제 분석 

-개선 방안 및 KPI 제시


나. 품질관리 프로그램 커리큘럼(선착순 마감)

일정

차시

강의 주제

주요 내용

8월 5일(화)

19~22시

1차시 (3h)

품질관리 기본 이해

및 사례 분석

- 품질관리(QA/QC)의 개념과 산업별 역할
- 주요 품질지표 및 불량률 분석 기초
- 사례 기반 품질 문제 정의 방법

8월 6일(목)

19~22시

2차시 (3h)

문제해결 도구와

공정 통계 기초

- 품질관리 도구(7 Tools) 실전 적용법
- 통계적 공정관리(SPC) 원리 이해
- 공정 능력 분석 (Cp, Cpk 등)

8월 12일(화)

19~22시

3차시 (3h)

공정 능력 분석 실무

- 제조공정 내 품질데이터 수집 및 활용법
- 이상 현상 분석 및 원인 추적
- 품질개선을 위한 데이터 기반 접근 전략

8월 14일(목)

19~22시

4차시 (3h)

종합 실습:

공정 능력 분석 프로젝트

▶ 최종 결과물: 공정 능력 분석 리포트 작성
1) 프로젝트 목표 설정 및 공정 선정
2) 데이터 분석 결과(Cp, Cpk) 도출
3) 문제 요인 도출 및 개선안 제안


다. 안전관리 프로그램 커리큘럼

일정

차시

주제

주요 내용

8월 18일(월)

19~22시

1차시 (3h)

산업안전관리 트렌드 및 법제도 이해

-산업안전관리 트렌드 및 정책 방향

-공정안전관리(PSM)의 필요성과 산업별 적용 사례

-중대재해 예방 로드맵 및 직무별 역할

8월 20일(수)

19~22시

2차시 (3h)

공정안전자료와 안전운전계획

-공정안전자료 항목 구성과 활용법

-안전운전계획 작성 프로세스 및 점검 항목 이해

-주요 서식/지침 분석

8월 25일(월)

19~22시

3차시 (3h)

위험성 평가의 이해

-위험성 평가 목적 및 절차

-의의, 기법, 다양한 위험성 평가 도구 소개

-실제 사례 기반 대책 수립 접근 전략

8월 27일(수)

19~22시

4차시 (3h)

종합 실습: 비상조치계획 및 보고서 작성

▶ 최종 결과물 산출

1) 사고 시나리오 기반 비상조치계획 수립

2) 공정안전보고서 요약본 작성

3) 현장 적용 가능성 및 개선 포인트 도출

▶ 발표 및 코멘트, 현업 활용 방안 안내


라. ESG 공정관리 프로그램 커리큘럼

일정

차시

주제

주요 내용

8월 19일(화)

19~22시

1차시

탄소중립과 친환경 공정 입문

-탄소중립/ESG 개요와 산업별 적용 예시

-탄소배출 포인트와 Scope 개념 이해

-전공별 진출 직무 소개 (공정, 환경, 에너지 분야 등)

8월 21일(목)

19~22시

2차시

공정 에너지 흐름과 진단 체험

-공정 에너지 흐름도(Sankey) 구성법

-간단한 공정 예시에서 손실 지점 분석

-에너지 절감 아이디어 발굴법

8월 26일(화)

19~22시

3차시

제품 전과정 평가(LCA) 기초 및 전략 수립

-LCA(Life Cycle Assessment) 기본 개념

-전과정 평가 항목 도출 워크숍

-친환경 전환 전략 설계 프레임워크 소개

8월 28일(목)

19~22시

4차시

종합 실습: 진단 보고서 및 전략 제안서 작성

▶ 결과물 작성

1) 공정 에너지 진단 리포트 

– 손실 요인 분석 및 진단 결과 정리

2) 친환경 전환 전략 제안서 

– 개선 전략 2~3가지 및 기대효과 제시

▶ 직무 활용 가이드 안내


5. 문의처: 공대 취업진로상담실 062-530-1922 


※ 참여 시 주의사항

- [필수] 프로그램 내용과 일정을 꼭 숙지 후 지원바랍니다.

- 미수료 시 추후 공과대학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참여 신청 시 1년간 선정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 

   프로그램을 끝까지 참여할 의지가 있는 분만 지원 바랍니다.


첨부파일
첨부파일이(가) 없습니다.